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MLB연금제도? 야구선수도 연금을 받는다?

by 꿈꾸는 이야사람 2025. 1. 15.
반응형

연금제도

우리나라 야구에는 없고 미국 야구에는 있다?

2024년을 뜨겁게 달구었던 우리나라의 스포츠 종목은 그 누가 뭐래도 바로 야구입니다.

한동안 차갑게 식었다가 최근 매우 핫한 종목으로 떠오르는 프로야구는 우리나라 이외에도 미국과 일본, 대만등에서도 꽤 사랑받는 스포츠 종목입니다.

 

야구의 규정이나 규칙들은 대동소이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구가 운영되는 형태는 차이점들은 국가마다 꽤 큰 차이점을 보이는 때가 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연금제도입니다. 우리에게는 생소한 프로야구 선수의 연금제도, 그중 MLB 연금제도는 어떨지 알아보겠습니다.

 

직장인들과는 다른 프로스포츠 선수의 조건, 연금이 필요하다.

사실 직장생활을 하는 일반인들에게는 이런 연금제도가 그리 어색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은퇴 후 삶을 준비하기 위한 가장 보편적인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프로 스포츠 선수에게는 이런 연금자체가 그리 익숙하지 않고 오히려 자유계약제도인 FA를 통해 큰 수익을 올리는 것이 보편적인 방법으로도 이해됩니다.

 

문제는 이런 FA를 통해 큰 수입을 벌어들이는 경우가 매우 한정적이라는 점입니다.

이런 문제는 미국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이 때문에 선수로 생활할 수 있는 기간이 일반적인 직장인들보다 짧은 프로선수들의 경우 안정적으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한동안 매우 짧은 편이라 노후에 대한 대비책으로 준비된 것이 바로 이 연금제도로 볼 수 있습니다.

 

메이저리그의 연금제도 어떤 기준으로 운용될까?

그렇다면 메이저리그 선수들이 연금을 수령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기준에 충족해야할까요?

기본적으로 메이저리그의 연금은 최소 43일 이상 메이저리그에 등록이 되어 이를 유지해야 하는 조건이 있습니다.

메이저리그의 경우 메이저리그와 마이너리그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는데 이 중 메이저리그, 우리나라로 치면 프로야구 정규리그에 해당하는 이 리그에 참가할 수 있는 1군 소속으로 43일 이상 선수생활을 해야 기본 요건에 충족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시행되는 FA제도에서도 이와 같은 1군 등록 기준들이 사용되는 점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선수가 1 군인 메이저리그에서 활동하다가 다시 2 군인 마이너 리그로 강등되는 경우에도 이미 1군 소속으로 경기에 참여한 기록은 말소되는 것이 아니라 그대로 남아 43일간의 등록 기간을 적용받습니다. 

 

이 43일의 유지 기간은 연금제도의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최소한 1분기 이상 1군 소속으로 경기에 참여해야 한다는 기준을 산술적으로 계산한 것으로 미국의 현행 메이저리그 경기 스케줄을 바탕으로 1분기 평균 43일이 경기일수로 계산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선수들은 언제부터 얼마의 연금을 수령할까?

이렇게 운영되는 메이저리그 연금, 그렇다면 규정일 수를 채운 대상자들은 언제부터 연금을 수령할 수 있을까요?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연금 관련 상품들은 연금을 수령하는 날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운영되고 있습니다.

각자의 사정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연하게 운영하게 되는 것이 최대 장점으로 현재는 45세와 62세, 두 연령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좀 더 이른 시기인 45세부터 연금을 받는 경우 수령액수는 좀 더 적게 되며, 본인이 메이저리그에 소속되어 경기에 참여한 일수에 따라 차등지급됩니다.

 

연금의 액수 기준은 분기를 기준으로 산정되며 최소 1분기, 최대 40분기로, 연수로 하면, 최소 3개월, 최대 10년을 기준으로 지급됩니다.

 

  1분기(최소 선수 등록 일수) 40분기(최대 선수 등록 일수)
45세부터 수령 매년 약 $1,700(한화 250만원 가량) 매년 $68,000 (한화 9천만원 가량)
62세부터 수령 매년 약 $5,800(한화 850만원 가량) 매년 $230,000 (한화 3억3천 가량)

 

2025년 현재 기준으로 볼 때에는 1분기 정도 선수 생활을 한 선수라면 45세에는 매달 20만 원 상당, 62세에는 매달 70만 원 상당의 연금을 수령하며 최대 연한인 10년을 채우면 45세부터 수령하면 매달 750만 원, 62세부터 수령하면 2800만 원가량을 수령하는 연금제도의 수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류현진 선수의 경우 이 서비스 타임의 기한인 10년을 모두 채운 상태로 류현진 선수의 경우 최대 금액을 연금으로 지급받을 수 있으며 수령연령에 따라 금액은 위와 같이 적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24.12.17 - [복지정책] - 탱킹시즌 뜻 ? 탱킹시즌의 의미는?

 

탱킹시즌 뜻 ? 탱킹시즌의 의미는?

탱킹? 탱킹시즌 뜻 도대체 뭔 소리지?우리나라의 프로야구 경기를 보다 보면, 유난히 팀의 성적이 오락가락하는 팀들이 꽤 있습니다.그리고 이런 팀들에서 시즌 내에 나오는 이야기들 중 하나가

makebettermyown.tistory.com

2024.11.30 - [복지정책] - 아시아쿼터제란? - Asian Player Quota

 

아시아쿼터제란? - Asian Player Quota

대한민국의 스포츠, 그리고 쿼터제?올 한 해 다양한 이슈로 1년을 달궜던 한국의 스포츠들이 국내 리그들에서 어느 순간 한국인이 아닌 외국인들이 일명 '용병' 혹은 '외국인 선수'라는 이름으로

makebettermyown.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