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지자체의 청년월세지원정책 신청기간이 시작되었습니다. 청년 월세 지원의 신청 조건을 보다 보면 등장하는 용어 중 청년가구와 원가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각 지자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청년월세지원정책은 청년들이 조금 더 빨리 경제적인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 정책으로 적어도 주거만큼은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꽤 많은 재원이 투자되는 정책이기 때문에 해당지원을 받기 위해선 일부 조건들을 충족해야 하는데 그중 소득과 재산의 기준을 등장하는 것이 바로 이 청년가구와 원가구라는 용어입니다.
이렇게 소득과 재산에 각각 두가지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아시는 분들이 도 계시겠지만 청년가구와 원가구라는 용어 자체가 널리 쓰이는 용어는 아닌 만큼 혼란을 느끼는 분들도 계실 것 같아 해당내용을 정리했습니다.
청년가구란?
청년가구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일단 부모와 독립된 세대를 구성하고 있어야 합니다. 미혼인 경우에는 청년 자신, 그리고 기혼인 경우 청년자신과 배우자, 자녀까지를 포함하고 있는 세대일때 청년가구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원가구란?
원가구는 청년가구와 부모만을 포함하는 경우입니다. 매달 직접 월세를 지출하고 있는 청년들에게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정책인만큼 부모와 독립하여 살고 있더라도 부모의 월소득이나 재산을 포함한 원가구 기준에 부합하지 않으면 지원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원가구 구성원으로 인정되는 구성원은 본인과 부모에 한정되며, 형제자매의 경우 함께 살고 있더라도 원가구 구성원으로 인정되지는 않습니다.
각각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기준에 해당하는 중위소득의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1인가구 | 2인가구 | 3인가구 | 4인가구 | 5인가구 | 6인가구 | |
기준중위소득 | 2,077,892 | 3,456,155 | 4,434,816 | 5,400,964 | 6,660,688 | 7,227,981 |
기준중위소득 60% |
1,246,735 | 2,073,696 | 2,660,890 | 3,240,578 | 3,798,413 | 4,336,789 |
한부모, 조손가족 급여 / 취업성공패키지 / 국민취업지원제도 / 청년월세특별지원 | ||||||
기준중위소득 100% |
2,077,892 | 3,456,155 | 4,434,816 | 5,400,964 | 6,330,688 | 7,227,981 |
중장년 대상 취업성공패키지 / 재난적 의료비 지원 / 경기여성취업지원금 |
청년가구와 원가구를 분리하여 기준을 적용하는 이유는?
보통 1인에서 3인정도로 구성되는 청년가구와 부모를 포함하는 원가구를 별도 구분하여 기준을 적용하는 이유는 청년이 부모와 분리하여 살고 있더라도 부모로부터 경제적으로 충분히 지원받을 수 있는 경우를 대상에서 제외하고자 하는 의미입니다. 때문에 이 두가지 조건에 모두 부합하는지 신청 전에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